지체·시각·청각·지적 4가지 유형
포천만 다 있고 동두천·연천 전무

절반 고령…농촌 많아 이동도 불편
“돌봄 서비스 특화해야” 목소리

경기북부 지역 장애인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이지만, 복지서비스 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이용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지역 장애인들은 다른 도시 시설을 이용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18일 경기복지재단의 '2023 경기북부 지역사회 장애인 돌봄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 수는 16만7801명이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이 8만5916(51.2%)으로 노년 장애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지역별 고령 장애인 수는 고양시가 2만1982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남양주 1만6820명, 의정부 1만1458명, 파주 1만1184명, 양주 6572명, 포천 5201명, 구리 4283명, 동두천 3446명, 가평 2862명, 연천 2108명 순이었다.

그러나 지역 간 장애인복지시설 격차가 커 이들이 시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복지시설에는 지체, 시각, 청각 및 언어, 지적 등 유형별 거주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주간보호시설·장애인복지관·재활치료시설 등 지역사회재활시설 등이 포함된다.

4가지 유형의 거주시설이 모두 있는 지역은 포천 한 곳뿐이었고, 동두천과 연천에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시설이 있는 지역이라 하더라도 입소 정원이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체장애인 시설은 의정부와 포천 두 곳에 있지만 각 20명, 16명이 이용할 수 있었다. 의정부 지체장애인 수는 1만27명으로 시설 경쟁률은 0.19 대 1, 포천은 5153명으로 0.31 대 1이다.

고양·포천에 있는 시각장애인 시설은 약 30명이 입소할 수 있었다. 청각 및 언어장애인 시설은 포천 단 한 곳에서 56명을 받고 있다.

중증장애인 시설의 경우 동두천·구리를 제외한 8개 시·군에 있었지만, 파주시 4곳, 남양주·양주·연천·가평 각각 2곳, 의정부·고양·포천 각 1곳로 불균형하게 분포했다.

재활치료시설은 북부지역에 아예 없었다. 남부에만 16곳이 운영 중이었다. 장애인복지관은 포천·연천을 제외한 8개 시·군에 있었다. 주간보호시설은 연천에 없었다.

이처럼 경기북부는 지역마다 노년 장애인이 절반을 차지하는 등 취약계층 비율이 높지만, 복지시설이 없거나 부족한 탓에 사실상 이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타지역으로 원정을 가야 할 수밖에 없지만, 북부지역에는 도농복합 또는 농촌 지역이 많아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

석희정 책임연구위원은 “경기북부는 지리적 이동과 시설 이용이 불편한 상황인데, 노인이나 취약계층 장애인이라면 더욱 열악하다”며 “시설은 적지만 인구밀도가 낮다는 이유로 정부 지원을 받기가 어려워 모든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했다.

해소 방안으로는 “경기 북부권역 특화형 돌봄서비스사업 개발을 통해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하고 이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며 “자체예산 증액을 기반으로 수요 즉시 대응을 위한 기존 서비스 대상을 늘리고 서비스시간 추가 제공 등 돌봄 공급량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정해림 기자 sun@incheonilbo.com



관련기사
장애인 사업·예산 확대…올해만 1000억 증가 경기도 장애인 지원사업과 예산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올해에만 지난해보다 1000억원이 늘어나는 등 장애인 관련 사업 규모가 1조원에 달한다. 도는 2028년까지 모두 2조9215억원을 투입해 65개 장애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18일 인천일보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도는 기회소득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장애인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장애인 기회소득은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고 스스로 운동 목표를 등록해 1주 최소 2회 이상, 1시간 이상 활동하면 월 5만원을 전액 도비로 지급하는 사업이다. 도내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