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속으로] 4·10총선 '문화예술' 공약

여야 선관위에 10대 공약 제출
민주, 하부 항목·중요도 하락
국힘, 지난 총선比 내용 후퇴
녹색정의, 노동권 보장 한정
개혁, 언론환경 개선에 초점
새미래·조국당, 공약 전무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당들이 내놓은 문화예술 공약은 제21대때보다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문화예술 공약을 하나도 내놓지 않은 정당도 있었다.

31일 각 정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공약을 보면 문화예술을 10개의 과제 중 하나로 다룬 정당은 없었다. 21대 총선에는 단일 공약으로 혹은 복합 공약으로 문화예술에 대해 다루고 있는 정당은 3곳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문화예술 공약으로 4·5호 공약 하부항목에 넣은 ▲블랙리스트 재발 방지 및 명예회복 노력 ▲교육·고용·활동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고용보험·산재보험 가입률 제고를 위한 자부담분 지원 확대 등 지원 체계 전환 ▲경력단절 예술인 지원 체계 구축 ▲지역 복합형 문화공간 조성 ▲문화재정 국가예산 대비 2.5% 단계적 확대 등을 담았다. 21대 총선과 비슷하지만 10대 공약 하부항목에 배치되면서 중요도가 하락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은 6·8·9호 공약 세부항목에 포함된 ▲만족도 높은 지역 문화·스포츠 시설과 프로그램 구축 ▲청년 문화예술패스 지원대상 단계적 확대(만19세→24세) ▲파크골프장 설치 확대 등이다. 전신인 미래통합당 당시 공약인 ▲문화콘텐츠의 외국납부세액 공제제도 도입 ▲문화예술계 전담 대응 기구 신설, 예술인 권리 보장 강화 ▲유통플랫폼 '문화마켓' 개발, 예술작품은행 설립 등보다도 후퇴했다.

녹색정의당은 3호 공약 세부항목에 ▲예술노동의 권리보장, 지역마다 '문화마을'에 국한됐다. 반면 21대 총선에서 정의당은 독립영화, 인디음악, 이주민, 예술강사, 사서 등과 같이 특별히 고려하고 있는 문화예술인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등 문화예술공약의 특징에 충실했다. 사회적으로 많이 다루었던 권리보장법-고용 및 사회안전망 확보 등의 비중이 높았던 녹색당도 '삶을 지키는 공공성'이라는 항목에 '예술'을 독립적으로 넣거나 여타 정당에는 없는 ▲문화영향평가제도 실효성 강화가 이번에는 사라졌다.

이번 총선에 새롭게 선보인 개혁신당은 언론환경 개선에 방향을 맞췄다. 그러나 이마저도 ▲공영방송 사장 선임 전 임명동의제 시행 ▲KBS수신료 폐지 후 대체 재원 확보 ▲방송사업자에 부과된 불합리한 규제 해소 ▲방송심의위원회 폐지 및 자율규제 강화 등 방송에 국한돼 일상 문화예술과는 동떨어져 있다. 새로운미래와 조국혁신당은 문화예술 공약은 전무했다.

이에 대해 문화예술인들은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문화예술 현장 대토론회'를 열어 22대 국회에 ▲국회와 현장 문화예술계의 협력 구조 구축 ▲문화재정 확충 ▲블랙리스트 특별법 제정 등 문화예술인들의 창작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이들은 “사회 비판적인, 인권·권리를 이야기하는 작품들에 대한 검열 및 예산 삭감이 심각해지는 등 문화예술 정책이 퇴행하고 있다”며 “지난해 10월 윤 정부의 문화예술 예산 삭감 문제 대응으로 시작해 22대 국회 구성에 문화정책 과제들이 대표 공약으로 나오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